2017.11.25 14:49
* 펙사백 ( Pexa-Vec , JX-594 )
- 우두(백시니아)바이러스를 유전자 재조합하여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기전을 가지고 있는 항암 바이러스
- 유전자 재조합을 통해 TK레벨이 비활성화된 펙사벡은 암세포만을 공격할 수 있는 선택성을 갖게 되어
TK레벨이 높은 곳인 암세포에서만 증식하게 됨. 또한, 면역유도물질인 GM-CSF를 삽입하여 펙사벡은
종양에 대한 면역반응을 불러일으킴
- 독성을 없앤 우두(vaccinia)바이러스의 유전자를 재조합한 항암바이러스로 바이러스가
유전자를 복제하는 데 필요한 티미딘인산화효소(TK, Thymidine Kinase) 유전자 부위를 제거하고,
과립구 대식세포 콜로니 자극인자(GM-CSF, granulocyte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)와
LacZ(β-galactosidase, 베타-갈락토시다아제, 젖당분해효소) 유전자를 삽입해 만듬
- 펙사벡은 마치 생물체처럼 작용함. 암세포가 분비하는 과발현 티미딘인산화효소(TK, Thymidine Kinase)를
빼앗아 증식함. 암세포가 정상세포와 달리 TK를 과발현해 무한히 분열하는 특징을 이용, 종양 안에서만
증식함으로써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공격함
- 펙사벡은 종양 주위 신생혈관을 폐쇄하는 효과도 발휘함. 종양 주변 혈관내피세포는 종양 증식에 필요한
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데 암세포와 마찬가지로 TK를 과발현해 생장하는데 펙사벡은 이를 차단할 수 있음
- 펙사벡은 암세포를 파괴(용해, lysis)하는 과정 중 GM-CSF를 분비해 수지상세포(dendritic cell)를 활성화하고
적응면역 반응을 촉진함.
수지상세포는 주요 항원전달세포로 킬러T세포(세포독성T림프구, Cytotoxic T Lymphocyte, CTL)가
특정 항원을 가진 암세포를 찾아 공격하도록 지시함.
펙사벡 내 LacZ 유전자가 발현한 젖당분해효소는 항암바이러스의 생체 내 활성도가 얼마나 되는지
나타내는 마커로 활용됨
* 단점 : 암환자의 면역체계에 의해서 항암바이러스가 최대 효과를 나타내기전에 파괴될 수 있음
- 펙사백은 천연두 바이러스를 이용하므로, 백신접종 여부다 천연두를 앓았던 과거력이 있는 경우 효과가 떨어질 수 있음
- 거꾸로, 천연두 백신에 의한 항체가 없거나 적은 사람일 수록, 피부반응 병변이 심하게 나타나고
그만큼 펙사백의 효과가 더 뛰어나게 됨
- 이에 대한 대책으로 VCP ( Vaccinia complement protein ) 과 EEV ( Extracellular Enveloped Virus ) 가 있음
VCP 는 면역계에 의한 바이러스 중화능력을 감소시켜, 바이러스를 오래 생존케 하는 기술
EEV 는 단단한 입자로 바이러스 외부를 싸는 기술
- 정맥 내 투여(IV) 및 종양 내 투여(IT) 로 주입이 가능
( 치료 0, 2, 4 주째 2주간격으로 총 3회 종양에 직접주사 함 )
- 암세포와 연결된 혈관세포 폐쇄를 통한 암세포를 억제하며
- 암세포 파괴 과정에서 체내 면역 반응 촉진으로 지속적인 암세포를 공격하게 됨
- 3회 투여비용은 45,000 ~ 65,000 달러 ( 약 5천만원~ 7200 만원 )
* 임상 2상a : 시한부 간암환자 35명중, 23명에서 암이 줄어들었으며, 이중 2명이 완전관해 ( CR ) 확인
- 고용량군 60.4주 ( 13.8 개월 생존 ) , 완치환자 발생
- 저용량군 28.7 주 ( 6.7 개월 생존 )
- 부작용 - 타이레놀로 제어 가능한 발열
* 임상 2상b
- 넥사바 투약후 실패한 진행성 간암환자를 대상으로 IV ( 정맥주사 ) 실시
- 유의미한 생존율을 얻어내지 못함
* FDA 로부터 SPA 취득
- 3상 성공시 상업화를 위한 허가과정을 생략해 준다는 계약
( 3상 효과가 좋으면, 시판시 복잡한 절차를 생략하고 빨리 시판하게 해줌 )
* 현재 글로벌 3상 진행중 , 200 명이 넘는 환자 등록
- 임상 2a 때 효과가 좋았던 환자군으로 세팅
- 고용량 투여, 주사기로 간암덩어리에 주입 , 넥사바 쓰지 않은 환자에 투여
* 미국 환자 콘래드 - 넥사바 투여한적이 없는 환자
2017년 3월 - 1차 펙사벡 투약 ( 단 하루 발열 부작용 뿐 )
2017년 4월 - 2차 투약
2017년 5월 - 3차 투약
8월 다큐멘터리에 부작용 없는 건강한 모습으로 출연
2017 년 11월 현재 8개월째 생존중
번호 | 제목 | 글쓴이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---|
공지 | 용어 정리 및 설명 | jinune | 2017.11.24 | 955 |
9 |
신라젠 임상 2a 와 3상 비교
![]() | jinune | 2017.11.27 | 1409 |
8 |
암젠의 오닉스 인수 사례로 본 신라젠의 가치
![]() | jinune | 2017.11.26 | 754 |
7 | JX-970 | jinune | 2017.11.25 | 475 |
6 |
펙사벡 임상 요약
![]() | jinune | 2017.11.25 | 560 |
» | 펙사백 ( JX-594 ) | jinune | 2017.11.25 | 626 |
4 |
항암제 종류
![]() | jinune | 2017.11.24 | 731 |
3 |
외국 바이오 회사 정리
![]() | jinune | 2017.11.24 | 441 |
2 | 항암 바이러스란 ? | jinune | 2017.11.24 | 527 |
1 | 신라젠 개요 | jinune | 2017.11.24 | 77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