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7.11.24 09:38
1세대는 6~70 년대의 세포독성항암제 , 2세대는 2000 대 초반의 표적항암제 , 3세대는 면역항암제
면역관문억제제 ( ICI , 면역항암제 ,Immune Checkpoint Inhibitor )
- 암세포의 표면에 있는 단백질인 PD-L1, PD-L2가 T세포의 표면에 있는 단백질인 PD-1과 결합하면,
T세포는 암세포를 공격하지 못한다. 면역항암제는 T세포의 PD-1 수용체에 달라붙어 암세포의 회피 기능을 억제한다.
( PD-L1 수용체와 결합을 막는다 ) 면역세포가 활성화 되면 종양세포가 분화하지 않음
* 옵디보 ( Opdivo, 성분명 : nivolumab ) - BMS 제품
- 2015년 3월 흑색종 치료제로 허가 된 제품. 미국과 유럽에서는 비소세포폐암, 신세포함 치료제로 허가 받음
( 폐암환자의 85% 가 비소세포폐암임 )
- PD-L1 발현여부와 관계없이 이전 화학요법에 실패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2차 치료제로
식약처의 허가를 받은 최초의 anti PD-1항체 면역항암제
* 키트루다 ( Keytruda , Pembrolizumab ) - MSD 제품
- 2014년 9월 FDA 승인
- PD-L1 발현율이 50% 이상인 비소세포폐암 환자중 , 백금 기반 화학요법제 치료도중 또는 이후에
진행이 확인된 환자에게만 처방
- 2017 년 7월 , 혈액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3상 임상에서 사망사례 발생
# 옵디보 VS 키트루다
( http://blog.iseverance.com/cancerinform/entry/601-2 )
- PD-L1 발현율 10~ 50% 에는 옵디보가 유일
- 50% 이상에서는 의사의 선택
* 리제네론
* 여보이 ( Yervoy , Ipilimumab ) - BMS 제품
- 피부암의 일종인 흑색종을 대상으로 2011년 시판 승인된 항암제로 3,000억 원의 매출액을 올림
* 임핀지 ( Imfinzi , 성분명 durvalumab ) - 아스트라제네카 자회사 메드이뮨 제품
- 2017년 5월 FDA 로부터 가속승인 ( Accelerated Approval ) 취득
- 백금착체 항암제로 치료를 진행 중 또는 진행한 후에 증상이 진행되었거나,
수술 전‧후 백금착체 항암제로 치료를 진행한 후 12개월 이내에 증상이 진행된
국소진행성 및 전이성 요로상피세포암종(방광암의 일종) 치료제 적응증으로 FDA의 허가관문을 넘음
* 트레멜리무맙
- CTLA4 억제제
- T세포는 수용체를 통해 항원전달세포에 항원을 인식한 뒤 , CTLA4 단백질을 세포 표면으로 전달 시키는데
이때, T 세포의 면역반응을 자극하는 CD28 수용체와 경쟁적으로 항원제시세포의 CD80(B7.1) 과
CD86(B7.2) 리간드와 결합한다. 그런데 CTLA4 수용제츤 CD28 수용체보다 B7 리간드와 결합하는
친화력이 더 뛰어나기 때문에, 만성적인 항원 자극에 의한 과도한 면역반응을 억제함으로써
자가 면역의 발생을 막는것이다. 따라서 CTLA4 억제제는 T 세포 활성 초기에 암세포에 대한 면역반응을 강화시켜
항암효과를 증진하는 원리이다
[ 항암 바이러스 ( OV )계열 ]
* 임리직 ( Imlygic ) - Amgen 제품 ( http://www.imlygic.com )
- T-Vec 이라도 불리워짐 ( talimogene laherparepvec )
- 2015 년 10월 FDA 승인 , 2015년 12월 유럽 승인
- 헤르페스 바이러스를 이용한 항암 바이러스 ( 대상포진을 유발하는 Herpes simplex virus 를 이용 )
- 임리직 단독요법으로 295명 임상결과 , 3상 임상에서 ORR 26.4% , 완전관해 (CR) 10.8%
- 흑색종 환자 21명에 키트루다와 병용투여한 임상 1b상 에서 ORR(객관적 반응률) 57.1% 달성, 완전관해 23.% 보임
단독요법보다 두배 이상의 효과를 거두었으나, 3등급이상 부작용 발생률이 33% 로 단독요법 11% 보다 증가함
* 펙사벡 - 신라젠 제품
## 임리직은 헤르페스 바이러스를 기반으로 피부암과 구강점막암에만 적용할 수 있으나
펙사백은 우두바이러스를 기반으로 해 전신에 적용할 수 있어 확장성이 우수함
[ 표적 항암제 ]
* 넥사바 ( 성분명 Sorafenib )
- 현재 간암의 유일한 치료제
- 암세포 주변의 동맥 생성을 억제헤서 암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약제
항암효과는 강력하지 않으며, 간기능을 유지하면서 간암이 더이상 진행되지 않는것에 촛점이 맞춰짐
완전관해 (CR) 비율은 상당히 적은편
- 진행성 간암의 표준요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유일한 표적치료제로
다중 티로신 인산화효소(multi-tyrosine kinase)를 억제함.
글로벌 3상 임상연구 ‘SHARP’와 ‘ORIENTAL’에서 위약 대비 효과를 입증함.
하지만 두 연구 완전관해를 보인 환자가 한 명도 없었으며,
부분관해 도달률은 각각 2%, 3.3%로 위약군의 약 1%보다 약간 높았음
- 임상 결과 , 말기 간암 환자의 생존기간을 평균 3개월 가량 연장시켰음
- 부작용 : 수족피부반응 , 설사 , 발진, 피부박리
# 간암치료 종류
BCLC(Barcelona-Clinic Liver Cancer, 바르셀로나간암센터) 병기에 따라
△Stage 0은 절제술
△StageA는 간이식 또는 고주파열치료(radiofrequenc ablation, RFA)
△Stage B는 경동맥 화학색전술(TACE, transarterial chemoinfusion, 이하 색전술)
△Stage C는 1차 치료제 ‘넥사바’(성분명 소라페닙, sorafenib, 개발사 바이엘) 등을 이용한 항암약물치료
△Stage D는 대증요법으로 나뉜다.
학계가 예상한 치료법별 장기생존율을 외과적 절제가 약 30%, 색전술 약 20%, 넥사바 5~10%이다.
번호 | 제목 | 글쓴이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---|
공지 | 용어 정리 및 설명 | jinune | 2017.11.24 | 955 |
9 |
신라젠 임상 2a 와 3상 비교
![]() | jinune | 2017.11.27 | 1409 |
8 | 신라젠 개요 | jinune | 2017.11.24 | 779 |
7 |
암젠의 오닉스 인수 사례로 본 신라젠의 가치
![]() | jinune | 2017.11.26 | 754 |
» |
항암제 종류
![]() | jinune | 2017.11.24 | 731 |
5 | 펙사백 ( JX-594 ) | jinune | 2017.11.25 | 626 |
4 |
펙사벡 임상 요약
![]() | jinune | 2017.11.25 | 560 |
3 | 항암 바이러스란 ? | jinune | 2017.11.24 | 527 |
2 | JX-970 | jinune | 2017.11.25 | 475 |
1 |
외국 바이오 회사 정리
![]() | jinune | 2017.11.24 | 441 |